개발일지/DB3 [DB] PostgreSQL과 MySQL의 차이 (퍼옴) https://www.integrate.io/ko/blog/postgresql-vs-mysql-which-one-is-better-for-your-use-case-ko/ PostgreSQL과 MySQL 비교: 주요 차이점사용 사례에 더 나은 DBMS를 결정하기 위해 MySQL과 PostgreSQL을 비교합니다.www.integrate.io 2024. 9. 23. ⭐[DB] Redis를 사용해 이메일 인증을 해보자. 들어가며,프로젝트에서 사용자 및 이메일 관련 로직을 담당하게 됬다.구현을 하던 중, 이메일로 보낸 인증코드를 '검증' 하는 로직을 짜는데 Redis 라는 Nosql 비관계형 DB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은 Redis에 대하여 작성해 볼 것이다. 먼저 Cache의 개념부터 알면 좋다.Cache 란한번 읽은(처리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전송, 갱신, 삭제하는 기술이다.보통 서버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매번 Disk로부터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보다 훨씬 빠른 I/O 성능을 얻을 수 있다.하지만 서버가 다운되거나, 재부팅되는 경우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의 성격을 갖고 있다.따라서 영속적으로 보관할 수 없는, 임시적으로 보관하고 빠르게 해당 정보에 접근.. 2024. 6. 23. [DB] Redis란? 사용하는 이유 들어가며,프로젝트에서 사용자 및 이메일 관련 로직을 담당하게 됬다.구현을 하던 중, 이메일로 보낸 인증코드를 '검증' 하는 로직을 짜는데 Redis 라는 Nosql 비관계형 DB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은 Redis에 대하여 작성해 볼 것이다.먼저 Cache의 개념부터 본 뒤, Redis로 넘어가자. Cache 란?캐시(Cache)란 한 번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전송, 갱신, 삭제하는 기술이다. 보통 서버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통해 매번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보다 훨씬 빠른 I/O 성능을 얻을 수 있다.캐시는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버가 다운되거나 재부팅되는 경우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영속적으로 보관할 수 없.. 2024. 5.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