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67 [CI/CD]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EC2⭐ (내용 추가 중) EC2란? (Amazon Elastic Compute Cloud)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 즉, 클라우드 서버이다.쉽게 말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AWS에서 빌려주는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EC2를 왜 사용할까?✅ 내 컴퓨터가 꺼져도 서버가 계속 동작해야 함✅ 물리 서버 없이 빠르게 배포 가능✅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비용 절약 가능Ubuntu, Amazon Linux, Windows 등 다양한 OS 선택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백엔드 서비스를 배포할 때에는 EC2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해야 한다. 같이 알아야할 개념들1️⃣ EC2 인스턴스EC2에서 생성한 가상의 서버(컴퓨터)Ubuntu, Amazon Linux, Windows 등 다양한 OS 선택 가능2️⃣ 퍼블릭 IP vs 프.. 2025. 2. 12. 내가 보려고 만든 앱서비스 배포 가이드 종강하고 다른 공부도 쪼금씩 하며 시간이 흘렀다.대상 수상했던 프로젝트 '잇다' 프로젝트배포를 진행하고 싶었던 프로젝트였는데 팀원도 나도 시간이 이제 맞게 되어서 슬슬 진행해보려한다!본격적으로 진행하기에 앞서 어떻게 배포과정을 거칠지 AI 툴을 사용해서 정리해보았다.계획은 2월 중후반까지 완료하는 것이 목표이다화이팅 ㅜ!!! 배포의 기본 과정코드 작성 → 로컬에서 개발코드 빌드 → 실행 가능한 상태(JAR, WAR)로 변환서버 준비 → AWS 같은 클라우드 서버 세팅코드 업로드 → 서버에 전송 (FTP, Git, SCP 등 활용)애플리케이션 실행 → 서버에서 JAR 실행 (java -jar)도메인 연결 → IP 또는 도메인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 1. 서버 환경 준비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거나 직접 서버.. 2025. 2. 10. [SpringBoot] 스프링부트에서 공공데이터 OpenApi 사용하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공공데이터 OpenAPI를 활용할 일이 생겼다.올해 초에도 공공데이터 OpenAPI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한 경험이 있는데 요번에 또 사용하게 되었다.전의 기억을 더듬어 다시 사용해보고 이를 기록하고자한다! 아래의 데이터를 사용https://data.gg.go.kr/portal/data/service/selectServicePage.do?page=1&rows=10&sortColumn=&sortDirection=&infId=ZFR12Y2JA4AKZVZXTHIE32159755&infSeq=2&order=&loc=&searchWord=%EC%84%A0%ED%95%9C%EC%98%81%ED%96%A5%EB%A0%A5 경기도 선한영향력가게 현황 | 데이터셋 상세 Open API | 경기데이터.. 2024. 10. 25. [Git] Merge 충돌 해결하기 들어가며,요즘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merge 충돌을 해결해야하는 일이 생겼다.현재 우리 레포지토리에는 master, dev, [이슈에 해당하는 브랜치1], [이슈에 해당하는 브랜치2] ... 이렇게 있는데이슈에 대한 기능 구현이 끝나면 [이슈에 해당하는 브랜치들] -> dev로 PR을 날려준다. 그런데, 여기서 2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번째 문제: main과 dev의 초기셋팅이 달라서 dev를 다시 파야했고이미 PR을 날려둔 것들은 기존 dev 브랜치를 삭제할 시 PR reopen 또는 새로 날려야했다.closed된 PR들을 다시 살린 뒤에는 두번째 문제: merge 시킨 뒤, 충돌 해결하기오늘은 이 두번째 문제를 하는 법에 대해서 소개해보고자 한다. 1. 병합하고 싶은 브랜치의 최신 상태 가져오기.. 2024. 10. 19. [SpringBoot] TestCode 작성법 들어가며,오늘은 테스트 코드의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인턴 시절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테스트의 중요성을 느낀 경험이 있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코드의 품질을 확보하고 버그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과 JUnit을 활용한 테스트 코드 작성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테스트 코드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버그를 조기에 발견하고, 나중에 발생 가능한 문제를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복잡도가 증가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테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버그 조기 발견 : 기능 구현 후 테스트를 통해 버그를 조기에.. 2024. 10. 15. [Android Studio] 카메라 기능 구현 (내용 추가 중) 들어가며,아동이 회원가입을 진행할 때, 급식카드를 등록해야한다.아동이 카드를 간편하게 등록하기 위해서 카메라로 카드를 찍으면 카드넘버가 인식될 수 있게끔한다.이때 카메라, OCR 기능이 필요한데 이번에는 카메라 기능을 구현해보겠다.LayOut 먼저 레이아웃을 구성해보자!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준다.이 코드는 카메라 촬영 후에 결과물 이미지를 나타내게 되는 레이아웃이다. 그리고 바로 아래에는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버튼을 만들어 준다.결과적으로 '촬영'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미지 결과물은 위의 코드에 해당하는 레이아웃에 나타나게 된다. 현재까지의 작업물이다이렇게 나타난다면 성공!! '홍드로이드' 카메라구현 강의를 따라하던 중startActivi.. 2024. 10. 4. [DB] PostgreSQL과 MySQL의 차이 (퍼옴) https://www.integrate.io/ko/blog/postgresql-vs-mysql-which-one-is-better-for-your-use-case-ko/ PostgreSQL과 MySQL 비교: 주요 차이점사용 사례에 더 나은 DBMS를 결정하기 위해 MySQL과 PostgreSQL을 비교합니다.www.integrate.io 2024. 9. 23. [Android Studio] TedPermission 들어가며,졸업작품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Android Studio를 사용하는 파트가 주어졌다사용할 기술은 'OCR' 기능으로, 휴대폰 카메라로 카드를 촬영할 시 카드번호를 인식하여 이를 Springboot 서버로 넘겨주는 부분이다.카메라 촬영 시 권한이 필요하다예시) TedPermission은 라이브러리이다권한 허용을 쉽게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안드로이드에서는 특정 동작을 위하여 권한이 필요하다.일반권한은 개인정보를 요청하지 않는 권한으로 앱 설치시 권한을 요청하며, 대표적으로 인터넷 접근 권한, 와이파이 접근 권한, 블루투스 접근 권한 등이 있다.위험권한은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권한으로 그 기능이 동작할때 권한을 요청하며, 대표적으로 카메라, 위치, 갤러리, 주소록 권한 등이 있다 카메라 기능 사용권한 추.. 2024. 8. 28. Spring 과 SpringBoot의 차이점 Spring 과 SpringBoot의 차이점 Spring과 Spring Boot는 모두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자바 웹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둘 간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Spring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 모듈을 모아서 만든 프레임워크입니다. Spring에서는 개발자가 직접 설정 파일을 작성하여 스프링 컨테이너를 구성하고, 필요한 빈 객체를 등록하고, 빈 객체 간의 의존성을 설정해야 합니다. Spring은 특정한 구성을 위해 추가적인 라이브러리와 설정이 필요합니다.반면, Spring Boot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레임워크입니다. Spring Boot에서는 개발자가 설정 파일을 작성할 필요 없이, 프로젝트의 설정과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자동으로 처리.. 2024. 7. 2. ⭐[DB] Redis를 사용해 이메일 인증을 해보자. 들어가며,프로젝트에서 사용자 및 이메일 관련 로직을 담당하게 됬다.구현을 하던 중, 이메일로 보낸 인증코드를 '검증' 하는 로직을 짜는데 Redis 라는 Nosql 비관계형 DB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은 Redis에 대하여 작성해 볼 것이다. 먼저 Cache의 개념부터 알면 좋다.Cache 란한번 읽은(처리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전송, 갱신, 삭제하는 기술이다.보통 서버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매번 Disk로부터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보다 훨씬 빠른 I/O 성능을 얻을 수 있다.하지만 서버가 다운되거나, 재부팅되는 경우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의 성격을 갖고 있다.따라서 영속적으로 보관할 수 없는, 임시적으로 보관하고 빠르게 해당 정보에 접근.. 2024. 6. 23.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